728x90
WPA3-Personal Compatibility Mode와 Transition Mode는 모두 WPA3 보안 표준으로 전환할 때 레거시 장치와의 호환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그 목적과 동작 방식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 WPA3-Personal Compatibility Mode
개요
- 정의: WPA3-Personal 인증 방식 중 하나로, SAE (Simultaneous Authentication of Equals)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일부 WPA2 장치와의 연결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모드입니다.
- 사용 시점: WPA3를 기본으로 사용하되, 드물게 WPA2 연결도 허용해야 할 때.
특징
- 보안 우선: 가능한 경우 SAE 기반 WPA3 연결을 우선 사용.
- 비 WPA3 지원 클라이언트는 거부될 수 있음: 완전한 WPA2 PSK 지원이 아니라, 일부 장치에선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음.
- 일반적인 AP UI에서는 ‘WPA2/WPA3 Mixed Mode’ 혹은 ‘WPA3 Compatibility Mode’ 등으로 표현되기도 함.
🔄 WPA3 Transition Mode
개요
- 정의: WPA3-Personal을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WPA2 장치를 고려하여, WPA2-PSK와 WPA3-SAE 인증을 동시에 허용하는 동작 모드입니다.
- 사용 시점: WPA3로 전환 중이지만, 기존 WPA2 장치가 많은 환경에서 호환성 확보용으로 사용.
특징
- Dual-Mode 동작: WPA2-PSK와 WPA3-SAE를 모두 활성화하여 클라이언트가 각자 지원하는 방식으로 연결 가능.
- 보안 트레이드오프: WPA2 장치가 여전히 존재하므로 WPA3의 보안 강점(예: dictionary attack 저항성)은 완전히 실현되지 않음.
- SSID는 하나: 동일한 SSID에 대해 클라이언트마다 인증 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
🆚 주요 차이점 비교
항목 WPA3-Personal Compatibility Mode WPA3 Transition Mode
주요 목적 | WPA3 우선 사용 + 제한적 WPA2 호환 | WPA2 장치 지원 + WPA3 도입 병행 |
지원 인증 방식 | SAE (기본), 제한적 PSK | SAE + PSK 병행 |
WPA2 클라이언트 연결 | 일부 가능 또는 불가 | 대부분 가능 |
보안성 | 높음 (WPA3 우선, WPA2 미지원 가능) | 낮음 (WPA2와 병행 사용) |
사용 권장 시점 | 대부분 장치가 WPA3 지원할 때 | WPA2 장치가 아직 많은 경우 |
SSID 설정 | 단일 SSID | 단일 SSID |
✅ 실무 권장 사항
- 새로운 네트워크 구축 시: 가능한 WPA3-Only 모드 권장.
- 혼합 환경일 경우: 초기에 Transition Mode를 사용하되, 점진적으로 WPA2 장치를 제거하고 WPA3 전용으로 전환.
- 보안 민감한 환경: Compatibility Mode보다는 완전한 WPA3-Only 모드가 바람직.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