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Linux 6

[WiFi] EMLSR(Enhanced Multi-Link Single Radio) vs MLSR(Multi-Link Single Radio)

EMLSR(Enhanced Multi-Link Single Radio)은 Wi-Fi 7 (802.11be)에서 도입된 MLO 구현 방식 중 하나로, 기존의 MLSR(Multi-Link Single Radio) 방식에서 실질적인 성능 향상과 링크 전환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두 방식 모두 단일 RF 체인을 사용하여 여러 링크를 공유하는 구조지만, 스케줄링 및 운영 방식에서 핵심적인 차이를 갖습니다.다음은 EMLSR이 기존 MLSR 대비 개선된 주요 사항📌 1. 링크 전환 방식의 개선🔸 MLSR:한 번에 하나의 링크만 활성화됨 (예: 5GHz 또는 6GHz 중 하나).링크 전환은 수동이거나 고정된 우선순위 기반으로 작동.링크 스위칭 시 상대적으로 긴 전환 시간과 오버헤드 발생.🔹 EM..

Linux 2025.06.24

Linux MAC aging 이란

🔧 MAC Aging이란?MAC 주소 aging은 스위치나 소프트웨어 브리지 내에 저장된 MAC 주소가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제거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브리지가 오래된 정보를 기반으로 잘못된 포트로 프레임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입니다.일반적으로 브리지는 프레임을 수신하면 그 프레임의 송신 MAC 주소와 들어온 포트를 MAC 테이블에 등록합니다.해당 MAC 주소로부터 추가적인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으면, 일정 시간이 지나 MAC 테이블에서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Linux에서의 적용 사례Linux에서는 bridge 서브시스템을 사용해 가상 브리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MAC 주소 테이블은 다음 경로에 저장됩니다:/sys/class/net/br0/bridge/agei..

Linux 2025.06.12

리눅스 동기화 명령어 rsync 사용법

rsync는 로컬과 원격 시스템 간에 파일 및 디렉토리를 효율적으로 복사하거나 동기화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도구입니다. 🔧 기본 형식rsync [옵션] [원본] [대상]원본과 대상은 로컬 또는 원격 경로가 될 수 있으며, 원격일 경우 user@host:/path/ 형태로 지정합니다.📌 자주 쓰는 주요 옵션옵션 설명-a아카이브 모드 (재귀 복사 + 퍼미션, 타임스탬프 등 유지)-v상세 출력 (verbose)-z데이터 압축 (느린 네트워크에서 유리)-e sshSSH를 사용하여 원격 연결--delete대상에 없고 원본에 없는 파일은 삭제 (양쪽 동기화용)-P진행 상태와 중단된 파일 이어받기 기능 포함 (--progress --partial)✅ 사용 예시1. 로컬 → 로컬 복사rsync -av /home..

Linux 2025.06.04

server certificate verification failed. CAfile: none CRLfile: none 메시지 발생시

오류 메시지 server certificate verification failed. CAfile: none CRLfile: none는 서버 SSL 인증서 검증에 실패했다는 의미입니다. 구체적으로는:CAfile: none — 신뢰할 수 있는 인증 기관(CA)의 인증서가 포함된 파일이 지정되지 않았습니다.CRLfile: none — 인증서 폐기 목록(CRL)을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보통 없어도 무방하지만, 보안 강화 시 필요할 수 있음).이 오류는 일반적으로 curl, git, wget, 또는 openssl 등에서 HTTPS 연결을 시도할 때 발생합니다.원인신뢰할 수 있는 CA 인증서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설정되지 않음환경변수나 설정파일에서 CA 경로가 잘못 지정됨루트 인증서가 누락되었거나 시스템에 설치되지 ..

Linux 2025.05.12

Makefile - 가짜 목적물(Phony Targets)

Makefile - 가짜 목적물(Phony Targets) 가짜 목적물은 실제로 파일의 이름이 아닌 것이다. 이것은 여러분이 명시적인 요구를 할 때 실행되는 어떤 명령들에 대한 이름이다. 가짜 목적물을 사용하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동일한 이름을 가진 파일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가 하나이고 퍼포먼스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 하나이다. 그것의 명령들이 목적 파일을 생성하지 않을 규칙을 만든다면, 그 명령들은 목적물이 다시만들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날 때마다 실행될 것이다. 다음은 하나의 예제이다: clean: rm *.o temp rm 명령이 `clean'이라는 이름의 파일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아마도 그런 파일은 앞으로 절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rm 명령은 여러분이 `make clea..

Linux 2008.02.12

Makefile - origin 함수(The origin Function)

origin 함수(The origin Function) origin 함수는 변수들의 값에서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함수들과 다르다; 이것은 하나의 변수에 대해서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이다. 특별히 이것은 이것이 어디로부터 온 것인가를 말한다. origin 함수의 문법은 다음과 같다: $(origin variable) variable은 질의하고 있는 변수의 이름이다; 그 변수에 대해서 참조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그것을 쓸 때 `$'나 괄호들을 일반적인 경우처럼 쓰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 이름안에서 변수 참조를 쓸 수 있다. 상수가 아닌 이름을 원한다면 말이다.) 이 함수의 결과는 그 변수 variable이 정의된 방법을 말하는 문자열이다: `undefined' 변수 variable이 절혀 ..

Linux 2008.02.1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