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WiFi] EMLSR(Enhanced Multi-Link Single Radio) vs MLSR(Multi-Link Single Radio)

스카이데이즈 2025. 6. 24. 18:18
728x90

 

EMLSR(Enhanced Multi-Link Single Radio)은 Wi-Fi 7 (802.11be)에서 도입된 MLO 구현 방식 중 하나로, 기존의 MLSR(Multi-Link Single Radio) 방식에서 실질적인 성능 향상링크 전환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두 방식 모두 단일 RF 체인을 사용하여 여러 링크를 공유하는 구조지만, 스케줄링 및 운영 방식에서 핵심적인 차이를 갖습니다.

다음은 EMLSR이 기존 MLSR 대비 개선된 주요 사항


📌 1. 링크 전환 방식의 개선

🔸 MLSR:

  • 한 번에 하나의 링크만 활성화됨 (예: 5GHz 또는 6GHz 중 하나).
  • 링크 전환은 수동이거나 고정된 우선순위 기반으로 작동.
  • 링크 스위칭 시 상대적으로 긴 전환 시간과 오버헤드 발생.

🔹 EMLSR:

  • 링크 전환을 빠르고 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
  • MAC 계층에서 향상된 스케줄링 알고리즘 도입.
  • MLD (Multi-Link Device)가 AP의 지시에 따라 전환 결정을 더 유연하게 수행 가능.
  • 전환 딜레이 최소화로 인해 유사 동시성 구현 가능 (strict STR은 아니지만 체감 성능 향상).

📌 2. 전력 효율 향상

🔸 MLSR:

  • 일정 주기마다 불필요한 링크로 스위칭될 수 있음.
  • RF와 MAC을 계속 활성화해야 하므로 배터리 소모 증가.

🔹 EMLSR:

  • 필요 시에만 특정 링크 활성화.
  • 비활성 링크는 슬립 모드 진입 가능.
  • 전력 제어 전략이 향상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특히 유리.

📌 3. QoS 및 지연 최적화

🔸 MLSR:

  • 전환 간 딜레이로 인해 고지연 응용에 불리함.
  • 특정 링크 혼잡 시에도 빠른 회피 불가능.

🔹 EMLSR:

  • AP와 협력하여 최적의 링크 선택 가능 (ex: 혼잡 회피).
  • 스케줄링 기반으로 지연 최적화.
  • VoIP, 게임 등 지연 민감 응용에 적합.

📌 4. 표준 내 명시적 지원

EMLSR은 802.11be 표준 초안(D3.0~)에서 명시적으로 정의된 향상된 동작 모드로, 다양한 MLD 유형(AP/STA)에 대해 구현을 권장함. 이는 제조사 간 상호운용성 확보 측면에서도 중요한 진전입니다.


📝 요약: EMLSR vs MLSR 비교표

항목 MLSR EMLSR

사용 RF 단일 단일
동시성 없음 없음 (하지만 빠른 전환으로 유사 동시성 제공)
링크 전환 속도 느림, 고정 우선순위 빠름, 동적 스케줄링
전력 효율 낮음 높음
QoS 대응 제한적 향상됨
표준 정의 기본 수준 향상된 표준 모드 (802.11be D3.x 이후)

✔ 결론

EMLSR은 MLSR의 한계를 실질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향상된 설계로,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RF/PHY 공유) 하에서 지연, 전력, QoS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선된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모바일 클라이언트와 같이 전력 제약이 있는 환경에서 효율적인 MLO를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방식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