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Makefile - origin 함수(The origin Function)

스카이데이즈 2008. 2. 12. 18:30
728x90
반응형

origin 함수(The origin Function)

origin 함수는 변수들의 값에서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함수들과 다르다; 이것은 하나의 변수에 대해서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이다. 특별히 이것은 이것이 어디로부터 온 것인가를 말한다.

origin 함수의 문법은 다음과 같다:

$(origin variable)

variable은 질의하고 있는 변수의 이름이다; 그 변수에 대해서 참조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그것을 쓸 때 `$'나 괄호들을 일반적인 경우처럼 쓰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 이름안에서 변수 참조를 쓸 수 있다. 상수가 아닌 이름을 원한다면 말이다.)

이 함수의 결과는 그 변수 variable이 정의된 방법을 말하는 문자열이다:

`undefined'
변수 variable이 절혀 정의된 바가 없다면 이 값을 가진다.
`default'
변수 variable이, CC나 기타 등등처럼 일반적인 디폴트 정의를 갖고 있다면 이 값을 가진다. See section 묵시적 규칙에 의해 사용되는 변수(Variables Used by Implicit Rules). 디폴트 변수를 재정의한 것이라면 origin 함수는 추후 정의의 원천(origin)을 리턴할 것이다.
`environment'
variable 가 환경 변수로써 정의된 것이고 `-e' 옵션이 켜진 것이 아니라면 이 값을 가진다. (see section 옵션들의 요약(Summary of Options)).
`environment override'
variable 가 환경 변수로 정의되었고 `-e' 옵션이 켜졌다면 이 값을 가진다 (see section 옵션들의 요약(Summary of Options)).
`file'
variable이 makefile에서 정의된 것이라면 이 값을 가진다.
`command line'
variable이 명령행에서 정의된 것이라면 이 값을 가진다.
`override'
variableoverride 지시어로 makefile에서 정의된 것이라면 이 값을 가진다 (see section override 지시어).
`automatic'
variable이 각 규칙의 명령들의 실행에 대해서 정의된 자동 변수라면 이 값을 가진다 (see section 자동 변수들(Automatic Variable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