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85

A reason AP doesn't response if it receives Authentication frame with invalid elements

When an Access Point (AP) receives an Authentication frame with invalid elements, it typically does not respond for several reasons related to security, efficiency, and protocol compliance. Here's why:1. Security Considerations:Avoiding Potential Attacks: Invalid elements in an authentication frame could be a sign of a malicious attack, such as:Denial of Service (DoS): Flooding the AP with inval..

Networks 2025.06.24

[WiFi] WPS 동작 과정

위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WPS (Wi-Fi Protected Setup)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며, Enrollee(등록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AP/Registrar(무선 공유기 또는 WPS 등록자) 간의 인증 절차를 상세히 보여줍니다. 아래는 해당 과정의 단계별 설명입니다.🔒 WPS 동작 절차 요약1. Beacon, Probe Request/Response (WSC IE 포함)AP는 Beacon 프레임에 WSC (Wi-Fi Simple Configuration) 정보 요소(IE)를 포함시켜 브로드캐스트함.Enrollee는 Probe Request를 WSC IE와 함께 전송.AP는 이에 대한 Probe Response(WSC IE 포함)로 응답함.2. Enrollee 측에서 비밀번호 입력 (Use..

Networks 2025.06.24

Wi-Fi7(IEEE802.11be)에서 WPA3 mandatory ?

1. WPA3의 의무화 여부Wi-Fi 7(Wi-Fi CERTIFIED 7™) 장치는 Wi-Fi Alliance의 인증을 받기 위해 WPA3를 반드시 지원해야 합니다. 즉:WPA3-Personal (SAE, Simultaneous Authentication of Equals)WPA3-Enterprise (192-bit security suite 포함)Wi-Fi Alliance는 Wi-Fi 6 (802.11ax)부터 WPA3를 필수로 요구하고 있으며, Wi-Fi 7도 동일한 보안 정책을 따릅니다. 따라서, Wi-Fi 7 인증을 받은 장치는 기본적으로 WPA3를 지원해야 하며, WPA2-only 모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2. Backward Compatibility (하위 호환성)Wi-Fi 7 AP(Acces..

Networks 2025.06.24

WiFi7 MCS15 (Dual Carrier Modulation)

DCM (Dual Carrier Modulation)은 IEEE 802.11ax (Wi-Fi 6)에서 처음 도입된 기술로, 물리 계층(PHY)의 신호 강건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변조 기법의 일종입니다. Wi-Fi 7(802.11be)에서도 이 개념은 유지되며 특정 전송 조건 하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 DCM (Dual Carrier Modulation)이란?DCM은 하나의 데이터 심볼을 두 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에 중복 전송하여 신호의 내구성과 수신 안정성을 높이는 기법입니다. 즉, 같은 정보를 두 개의 주파수에 실어서 보냄으로써 에러 가능성을 줄입니다.🛠️ 기술적 개념원리:하나의 QAM 심볼 → 두 개의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에 매핑이로 인해 동일한 정보가 서로 다른 주파수 위..

Networks 2025.06.24

[WiFi] EMLSR(Enhanced Multi-Link Single Radio) vs MLSR(Multi-Link Single Radio)

EMLSR(Enhanced Multi-Link Single Radio)은 Wi-Fi 7 (802.11be)에서 도입된 MLO 구현 방식 중 하나로, 기존의 MLSR(Multi-Link Single Radio) 방식에서 실질적인 성능 향상과 링크 전환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두 방식 모두 단일 RF 체인을 사용하여 여러 링크를 공유하는 구조지만, 스케줄링 및 운영 방식에서 핵심적인 차이를 갖습니다.다음은 EMLSR이 기존 MLSR 대비 개선된 주요 사항📌 1. 링크 전환 방식의 개선🔸 MLSR:한 번에 하나의 링크만 활성화됨 (예: 5GHz 또는 6GHz 중 하나).링크 전환은 수동이거나 고정된 우선순위 기반으로 작동.링크 스위칭 시 상대적으로 긴 전환 시간과 오버헤드 발생.🔹 EM..

Linux 2025.06.24

[WiFi] MLO mode in 802.11be(WiFi)

Wi-Fi 7(IEEE 802.11be)에서 도입된 MLO (Multi-Link Operation) 기술은 다중 대역 또는 다중 채널을 병렬로 활용함으로써 처리량, 지연시간, 신뢰성 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 기능입니다. 그중에서도 STR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방식과 EMLSR (Enhanced Multi-Link Single Radio) 방식은 MLO 구현 방식 중 서로 다른 제약과 가능성을 가진 접근입니다. 🔧 개념 정리: STR vs EMLSR✅ STR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하드웨어 구성: 각 MLO 링크(예: 5GHz, 6GHz)에 독립적인 PHY 및 MAC, 심지어 RF 프론트엔드까지 따로 갖춤.완전..

Networks 2025.06.24

EAPoL 패킷 내에서 Pairwise Chipher Suite Count 란

EAPoL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over LAN) 패킷 내 Pairwise Cipher Suite Count 필드는 Wi-Fi 보안 프레임워크 중 RSN (Robust Security Network) 또는 WPA2/WPA3 인증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Pairwise Cipher Suite Count란?Pairwise Cipher Suite Count는 EAPoL Key 메시지 (특히 EAPoL-Key Message 1 또는 Message 3) 내 RSN Information Element (RSN IE) 혹은 WPA IE에 포함된 필드로, 클라이언트(STA) 또는 **AP(Access Point)**가 지원하는 pairwise encrypt..

Networks 2025.06.17

WPA3-Personal Compatibility Mode 와 Transition Mode 의 차이점

WPA3-Personal Compatibility Mode와 Transition Mode는 모두 WPA3 보안 표준으로 전환할 때 레거시 장치와의 호환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그 목적과 동작 방식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WPA3-Personal Compatibility Mode개요정의: WPA3-Personal 인증 방식 중 하나로, SAE (Simultaneous Authentication of Equals)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일부 WPA2 장치와의 연결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모드입니다.사용 시점: WPA3를 기본으로 사용하되, 드물게 WPA2 연결도 허용해야 할 때.특징보안 우선: 가능한 경우 SAE 기반 WPA3 연결을 우선 사용.비 WPA3 지원 클라이언트..

Networks 2025.06.17

IEEE 802.11h/k/v/r 이란

IEEE 802.11h/k/v/r는 모두 기존 Wi-Fi (802.11) 표준을 보완하는 확장 규격으로, 무선 네트워크의 스펙트럼 효율성, 로밍 성능, 에너지 절약, 보안성 강화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아래에서 각 표준의 주요 목적과 기능을 비교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IEEE 802.11h – 스펙트럼 규제 대응 (DFS/TPC)📌 개요5GHz 대역에서 군사 및 기상 레이더 등과의 간섭 방지를 위한 기술유럽(ETSI)과 같은 규제기관의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 설계됨✅ 핵심 기능DFS (Dynamic Frequency Selection)→ 레이더 신호 감지 시 다른 채널로 전환TPC (Transmit Power Control)→ 송신 전력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간섭을 최소화📍 적용 대상5..

Networks 2025.06.17

IEEE802.11 에서 Spectrum Management란 무엇인가 ?

IEEE 802.11에서 Spectrum Management는 무선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정의된 여러 기능들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주로 무선 네트워크의 품질과 안정성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특히 802.11h, 802.11k, 802.11v 등의 서브표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pectrum Management란?Spectrum Management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채널)을 동적으로 선택하고 조절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입니다:간섭 회피 (Interference Avoidance)효율적인 채널 이용전력 소비 최적화규제 준수 (특히 유럽 CEPT, DFS 요구사항 등)주요 기능들1. Dynamic Frequ..

Networks 2025.06.17
728x90